본문 바로가기

커버스토리

월스트리트 아성을 넘보는 욜스트리트, ‘달라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댓글 0건 작성일 24-08-30 10:01

본문

미 금융의 중심지 월스트리트 아성 넘보는 달라스

증권거래소, 기업 이전, 부유한 주민 이주 증가 등 … 달라스 ‘성장의 중심지 갈망’


달라스에는 포춘 500(Fortune 500) 기업 중 9개가 있으며, DFW지역으로 확대하면 24개가 있다.
수년 동안 경제학자들은 달라스가 시카고나 뉴욕처럼 미국의 대표적 금융 허브가 될 것이라는 아이디어에 회의감을 표했다.
하지만 활발한 인구 증가 및 기업 이전 등으로 빅 D(Big D)의 역동성이 다시한번 주목받고 있다.
지역 매체인 달라스모닝뉴스는 지난 26일(월) “달라스가 선벨트의 경제 강국이라는 뿌리에서 미국에서 가장 큰 경제 강국 중 하나로 싹을 틔우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과 시카고가 여전히 대표적인 금융 허브이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성장이 둔화되면서 달라스가 새로운 왕관을 차지하기에 적절한 시기와 장소에 있다고 진단했다.
웨이코에 기반한 경제리서치회사인 페리만 그룹(The Perryman Group)의 레이 페리먼 최고경영자는 “시카고와 뉴욕은 오랫동안 금융의 중심지로 자리잡아 왔기 때문에, 기존에 쌓아온 명성 만으로도 계속해서 금융의 주요 중심지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텍사스, 특히 달라스로 뚜렷한 움직임 가속화되고 있으며, 달라스는 스스로를 알리고 경쟁 우위를 유지하는데 뛰어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달라스의 대표적 억만장자인 마크 쿠반 역시, “달라스에는 다른 지역에 없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미 중앙부에 위치해, 미 전역을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교통편”이라며 “기업들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이는 욜스트리트(‘Y’all Street’)와 같은 기발하고 효과적인 캐치프레이즈와 결합하면 이 지역은 밝은 미래를 위한 레시피를 갖춘 셈”이라고 말했다.
쿠반은 수십 년 동안 도시의 성장을 지켜보았고, 달라스에 본사를 둔 마크 쿠반 코스트 플러스 드럭스(Mark Cuban Cost Plus Drugs)와 샤크 탱크(Shark Tank) 회사 등 상당수가 달라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등 여전히 이 도시에 투자하고 있다.

▶욜스트리트란 무엇?
현재로서 욜스트리트는 뉴욕의 월스트리트처럼 실제 주소가 있는 장소라기보다는 개념에 더 가깝다.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가 헌트 리얼티 인베스트먼트와 힐우드 어반과 함께 빅토리 파크(Victory Park) 옆 필드 스트리트(Field Street)에 5억 달러 규모의 타워를 건설하는 것과 블랙록(BlackRock), 시타델 시큐리티스(Citadel Securities) 같은 투자자들로부터 1억 2천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받는 텍사스 증권 거래소(Texas Stock Exchange, TXSE) 출범이 이 같은 별명을 얻는 데 도움이 됐다.
특히 골드만 삭스의 개발로 인해 지역 금융업계에 5천개 일자리를 추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TXSE는 올해 하반기에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등록 서류를 제출할 예정이다.
휴스턴에 본사를 둔 아메지 뱅크(Amegy Bank)의 칼로스 먼구이아(Carlos Munguia) 최고경영자는 “이 같은 프로젝트는 주머니가 두둑한 투자자들이 이 지역에 대해 갖는 확신의 모범 사례”라고 말했다.
그는 “달라스 성장의 대표적인 신호 중 하나는 금융 시장이 매우 경쟁적이라는 점”이라고 전했다.
먼구이아 최고경영자는 “많은 경쟁자들이 이를 인식하고, 이곳에 있고 싶어 한다. 모두가 이야기하는 새 금융 허브를 만들기 위해 이곳으로 모여들고 있다”라고 밝혔다.
오늘날 텍사스에는 금융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이 65만 8,600명인 반면 뉴욕은 54만 4,900명에 불과하다.
투자은행과 증권 관련 고용(Investment banking and securities employment)은 지난 20년 동안 111%나 급증했다. 특히 팬데믹 이후 그 수치는 27%로 증가해, 뉴욕의 각각 16%와 5% 성장률을 크게 웃돌았다.

▶부유한 가구들의 활발한 유입
달라스모닝뉴스는 28일(수) “론 스타 주가 미국의 금융 허브라는 왕관을 차지하려는 시도 속에 젊고 부유한 가구들이 이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도 “부유한 이주민의 유입은 달라스가 세계에서 22번째, 미국에서 6번째로 부유한 도시가 되는데 기여한 요인 중 하나”라고 전했다.
스마트에셋(SmartAsset)이 연방국세청(IRS)의 2021년과 2022년 데이터를 사용해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텍사스는 젊고 부유한 가구 1,660가구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순유입 기록이다. 이번 조사에서 `젊고 부유한 가구’는 26세에서 35세 사이의 연령대로 연 소득이 20만 달러 이상을 의미한다.
텍사스는 1천 786가구를 기록한 플로리다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순유입을 기록했다. 특히 이같은 현상은 캘리포니아와 뉴욕과는 대조적인 흐름인데, 캘리포니아는 3,226가구, 뉴욕은 345가구의 젊고 부유한 가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캘리포니아와 뉴욕은 젊고 부유한 가구 손실에서 각각 1위와 4위를 차지했다. 
젊고 부유한 가구의 이주는 텍사스의 비즈니스 친화적인 환경과 세금 혜택이 주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텍사스는 소득세가 없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이주지로 평가받고 있는데, 소득세 부담이 적어지면 자연히 더 많은 자산을 저축하고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연 소득이 높은 젊은 층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SpaceX, AECOM, CBRE와 같은 대기업들이 달라스, 어스틴, 휴스턴 등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고급 인재들을 끌어들여,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 사이에 25,000개 이상의 기업이 텍사스로 왔다.
이는 젊은 가구의 이주를 촉발시켜 텍사스의 경제적 성장을 가속화하고, 미국 내에서 더욱 중요한 경제적 허브로 자리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달라스의 다음 행보는?
한편 달라스에 금융회사들이 몰리는 데는 비용적 이점이 강하게 작용한다.
북텍사스에는 광활한 땅에 새로운 시설을 지을 공간이 충분하며, 미 중남부에 위치해 거의 모든 주요 도시에 직항으로 빠르게 갈 수 있다. 
또한 주거비가 천정부지로 치솟는 다른 지역과 달리 저렴한 편이다. 
달라스는 메트로플렉스 내 위성 도시(프리스코, 플레이노, 플라워마운드, 어빙 등)이 발전하면서 그 혜택이 달라스에 돌아온다고 말한다.
이는 뉴욕과 시카고 같은 전통적인 중심지들과 비슷한 상황으로 달라스는 주변 도시들과의 협력으로 강력한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페리먼 최고경영자는 “다만 달라스는 더 효과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만들고 수백 개의 기업과 수천 명의 새로운 주민의 요구를 균형 있게 조정해야 하는 등 엄청난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더 많은 성장을 위해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환경에서 발생한 시너지는 달라스가 금융 센터로 계속 부상할 수 있는 주된 이유”라며 “어떤 면에서 달라스가 이미 시카고를 앞지르고 있다는 강력한 주장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글로벌 로펌인 폴 해스팅스(Paul Hastings)의 달라스 사무소 폴 게넌더(Paul Genender) 책임자는 “도시의 강력한 사업 능력, 사업 친화적 정책, 고층 빌딩을 넘어선 목적지로 부상하면서 마침내 달라스가 금융 허브 리더이자 미국의 차세대 슈퍼시티 중 하나로 부상할 때가 되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달라스가 미국에서 최고의 비즈니스 중심지 중 하나로 언급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예전 달라스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농담처럼 말하곤 했는데, 이제는 더 이상 농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은영 기자 © KT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커버스토리 목록
    헌정 사상 첫 현직 대통령에 체포영장 집행윤 대통령 내란 혐의 조사, 공수처 수사 권한 도마 위에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2024년 12월 3일) 후 43일 만인 지난 15일(수) 오전 10시 33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에 체포됐다.현직 대통령에…
    2025-01-17 
    텍사스 대한파 교훈 후 발전소와 가스 인프라, 혹한 대비 강화애봇 주지사, “한파에 만반의 준비 갖췄다” 자신비교적 따뜻했던 겨울을 시샘하듯, 신년 1월부터 동장군(冬將軍)이 북텍사스를 찾아왔다.그렉 애봇 텍사스 주지사는 지난 8일(수), 텍사스 주정부 긴급 대응 기관…
    2025-01-10 
    美, 트럼프 대통령의 귀환, 주요 이민 정책 변화?韓,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본격화 … 헌재의 시간 시작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가 밝았다. 을사년은 DFW한인 사회를 비롯해 변화와 도전의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span lang="KO&…
    2025-01-03 
    DK파운데이션, 나눔의 선순환 강조 “해가 갈수록 더 자라나는 따뜻한 기부 문화 형성”DFW 한인동포 및 기업, 모두가 함께한 ‘2024년 더 나눔 특별 성금 모금’비영리 재단 DK파운데이션(이사장 스캇 김)이 주최한 ‘더 나눔 특별 성금 모금 2025’ 행사가 지난…
    2024-12-27 
    제2회 더 키움 장학생 송현아, 정수민, 허혜인, 김정훈, 김한수 선정더 키움 OTA World 장학사업, 올해 총 3만 5천 달러의 장학금 집행DK파운데이션(이사장 스캇 김)이 주최한 ‘더 키움 OTA World 장학금 수여식’이 지난 14일(토) 오후 2시, 중앙연…
    2024-12-20 
    2024년은 DFW 한인 사회에 있어 다사다난(多事多難)했던 한 해로 기억될 것이다.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경제적 도전, 그리고 지역 사회의 다양한 사건들은 한인 사회의 일상에 크고 작은 파장을 일으켰다. 팬데믹 이후 본격적인 회복을 기대했던 올해는 예측할 수 없는 …
    2024-12-13 
    AM730DKnet라디오 방송국, 오는 20일 제3회 ‘더 나눔’ 특별 생방송 예고DFW한인사회 위한 DK파운데이션의 활발했던 활동들DFW한인사회의 나눔과 연대를 상징하는 ‘더 나눔’ 캠페인이 올해도 열린다.AM730DKnet라디오방송국(사장 김민정)은 ‘더 나눔’ 기…
    2024-12-06 
    DK파운데이션(이사장 스캇 김)은 2024년에도 텍사스 지역 한인 동포들을 대상으로 더 나눔 재정보조와, 사회복지사 무료 상담 서비스를 연중 내내 진행했다.이에 올 1월부터 11월까지 10명의 한인들에게 도움이 전해졌다. 그들의 사연을 전한다. 정리=KTN보도편집국♥♥…
    2024-12-06 
    ‘문화(Culture)’, ‘맛(Tasty)’, ‘케이팝(K-POP)’ 주제로 다채로운 한국 문화 선보여DFW 한인 사회를 대표하는 문화 축제인 ‘2024 코리안 페스티벌’(Korean Festival)이 지난 23일(토) 캐롤튼에 위치한 쉐퍼드 스쿨 오브 랭귀지(옛 …
    2024-11-29 
    사진=KTN, 달라스한인회(그라피엔코포 Instagram - @photo.graphyandco), 프리랜서 김선하
    2024-11-29 
    사진=KTN, 달라스한인회(그라피엔코포 Instagram - @photo.graphyandco), 프리랜서 김선하
    2024-11-29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역사상 전례 없는 불법 이민자 추방에 돌입할 것”불법 이민 대규모 추방, 노동력 부족·경제적 손실 우려 속 논란 증폭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내년 1월 20일) 직후 역사상 전례 없는 불법 이민자 추방에 돌입할 것이라고 공언한 가운데…
    2024-11-22 
    美 10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6%↑…7개월만에 상승률 반등DFW지역 물가, 두 달 연속 0.4% 하락 … 연간 2.6% 상승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대선에서 승리하며 인플레이션 문제 해결을 약속함에 따라, 관세와 감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2024-11-15 
    트럼프, 승리선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진정한 황금기 도래할 것”텍사스주 하원 도전한 전영주 후보 아쉽게 낙선… 항소 법원 티나 유 클린턴 판사도 낙선전세계의 관심을 모았던 ‘제47대 미국 대통령 선거’가 끝이 났다.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하며 4년만…
    2024-11-08 
    사전투표 늘어 결과 합산에 시간 소요 전망피튀기는 초박빙… 경합주 조사기관 따라 우위 바뀌며 '대혼전'미 대선(11월 5일)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최종 당선자 윤곽이 언제쯤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올해 대선은 전국 지지율이 1%포인트 차이밖에 나지 않을 만큼 초접…
    2024-11-01 

검색